1 |
전체 |
전체 |
전공 |
해양지구화학특론 |
GR09025 |
3.0
해양지구화학특론
전체
전체
해양지각을 구성하고 있는 원소들의 특성과 함유량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분석원리와 분석치의 통계적 처리 등에 관하여 집중적으로 공부한다.
|
2 |
전체 |
전체 |
전공 |
해양환경세미나1 |
GR16789 |
3.0
해양환경세미나1
전체
전체
인간활동에 의한 해양 환경 변화를 물리해양학, 지질해양학, 생물해양학 그리고 화학해양학적인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해석한다.
|
3 |
전체 |
전체 |
전공 |
해양환경세미나2 |
GR16790 |
3.0
해양환경세미나2
전체
전체
인간활동에 의한 해양 환경 변화를 물리해양학, 지질해양학, 생물해양학 그리고 화학해양학적인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해석한다.
|
4 |
전체 |
전체 |
전공 |
지역해양학1 |
GR16791 |
3.0
지역해양학1
전체
전체
해양의 시공간적인 해황 분포와 변동 특성을 살피고, 현상의 이해와 해황 예측방법을 터득한다. 특히 우리 나라 주변해역인 동해, 황해, 남해의 해황을 익히는 등 특정 지역에의 해학적인 특성을 이해한다.
|
5 |
전체 |
전체 |
전공 |
지역해양학2 |
GR16792 |
3.0
지역해양학2
전체
전체
해양의 시공간적인 해황 분포와 변동 특성을 살피고, 현상의 이해와 해황 예측방법을 터득한다. 특히 우리 나라 주변해역인 동해, 황해, 남해의 해황을 익히는 등 특정 지역에의 해학적인 특성을 이해한다.
|
6 |
전체 |
전체 |
전공 |
염하구해양학 |
GR16793 |
3.0
염하구해양학
전체
전체
연안역과 육지에서 유입되는 강물이 만나는 지역에서 담수와 해수의 혼합과정, 삼각주와 같은 염하구 지형, 화학 성분의 변화 및 이에 따른 퇴적물 분포와 해양 생태계의 분포 등에 대하여 이해한다
|
7 |
전체 |
전체 |
전공 |
조간대해양학 |
GR16794 |
3.0
조간대해양학
전체
전체
조간대 지역에 서식하는 생물의 분포와 계절 변화, 조간대의 형성 기작과 역할 등에 관해 다각적인 관점으로 분석하고 이해한다.
|
8 |
전체 |
전체 |
전공 |
퇴적구조특론 |
GR16796 |
3.0
퇴적구조특론
전체
전체
퇴적암 내에서 관찰되는 특징 중에서 구성입자 보다 더 큰 규모로 나타나는 것으로, 퇴적 구조는 구성입자의 조직이나 성분의 차이에 의해 육안으로 관찰, 퇴적환경을 해석한다.
|
9 |
전체 |
전체 |
전공 |
제4기지질학특론 |
GR16798 |
3.0
제4기지질학특론
전체
전체
지구사 연대구분이 일 단원이며, 최후의 지질시대인 제 4 기는 200만년에 자연 환경의 형성, 변천 등 모든 현상이 거의 이 기간에 직접 유래함으로써 중요시된다. 이 기간 중에 퇴적물의 형성과정과 해수면의 변화에 따른 지질학적 특징을 연구한다.
|
10 |
전체 |
전체 |
전공 |
플랑크톤생태학특론 |
GR16799 |
3.0
플랑크톤생태학특론
전체
전체
식물플랑크톤과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구조와 기능을 알아보고 물질 순환과 에너지 흐름에서 이들의 역할을 이해한다.
|
11 |
전체 |
전체 |
전공 |
해양생태학세미나1 |
GR16802 |
3.0
해양생태학세미나1
전체
전체
최신의 해양생태 연구결과로부터 관련 지식을 습득하고, 연구설계, 자료분석, 토론의 능력이 향상시킨다.
|
12 |
전체 |
전체 |
전공 |
해양생태학세미나2 |
GR16803 |
3.0
해양생태학세미나2
전체
전체
최신의 해양생태 연구결과로부터 관련 지식을 습득하고, 연구설계, 자료분석, 토론의 능력이 향상시킨다.
|
13 |
전체 |
전체 |
전공 |
해양생물학연구방법론 |
GR16804 |
3.0
해양생물학연구방법론
전체
전체
해양생물의 미생물, 부유생물, 저서생물, 유영생물에 관한 분류, 생태학적 지식과 연구방법을 습득한다. 또한 해양생물학 연구에 필요한 물리, 화학, 지질해양학 자료를 분석하고 적용한다.
|
14 |
전체 |
전체 |
전공 |
해류학특론 |
GR16806 |
3.0
해류학특론
전체
전체
해양의 풍성 순환과 열염분 순환의 형성 원인을 이해하고, 해류가 기상 및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
15 |
전체 |
전체 |
전공 |
화학해양학세미나 |
GR16810 |
3.0
화학해양학세미나
전체
전체
최신의 화학해양학 연구논문을 발표하여 정보의 이용과 해석 능력을 갖는다. 또한 친생물원소 및 미량원소의 거동, 퇴적물의 화학, 지구규모적인 원소의 순환, 그리고 인간이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 등을 토의한다.
|
16 |
전체 |
전체 |
전공 |
해수분석특론 |
GR16811 |
3.0
해수분석특론
전체
전체
해수 중 화학성분의 조성과 분포를 파악하기 위한 시료의 채취와 전처리 그리고 보관에 관한 지식을 전달하고 다양한 측정방법과 함께 최근 개발된 해수분석법을 습득한다.
|
17 |
전체 |
전체 |
전공 |
지구유체역학 |
GR17556 |
3.0
지구유체역학
전체
전체
회전하고 있는 지구상의 유체의 운동을 역학적으로 이해한다. 큰 규모의 유체 운동에 있어서 지구자전 효과를 이해한다.
|
18 |
전체 |
전체 |
전공 |
해양자원관리론 |
GR17678 |
3.0
해양자원관리론
전체
전체
해양학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물리자원, 지질자원, 화학자원, 생물자원의 경제적인 이용과 효과적인 관리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
19 |
전체 |
전체 |
전공 |
해양 고생물학 특론 |
GR17681 |
3.0
해양 고생물학 특론
전체
전체
해양퇴적물 내에 보존되어 있는 생물의 유해나 흔적을 통하여 고환경을 추적하여, 고해양환경을 해석한다.
|
20 |
전체 |
전체 |
전공 |
연안퇴적환경 특론 |
GR17686 |
3.0
연안퇴적환경 특론
전체
전체
연안환경에서의 퇴적작용, 퇴적물의 이동 및 진화에 대해 알아보고 자연의 개발 및 이용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는 학문이다.
|
21 |
전체 |
전체 |
전공 |
심해지질학 특론 |
GR17687 |
3.0
심해지질학 특론
전체
전체
심해저 지질환경의 특징과 그 형성기작에 대한 지질학적인 고찰을 수행하여 심해저 지질환경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
22 |
전체 |
전체 |
전공 |
해저층서학 특론 |
GR17688 |
3.0
해저층서학 특론
전체
전체
해저에서 지층이 생성되는 과정과 이로 인하여 형성된 지층의 순서, 구조 및 층서기록을 다룬다.
|
23 |
전체 |
전체 |
전공 |
해양천연물화학 |
GR17690 |
3.0
해양천연물화학
전체
전체
해양내 천연 유기화합물의 분포, 특성 등을 소개하고 약품, 유전자 추출 등의 산업적 응용 가능성을 파악한다.
|
24 |
전체 |
전체 |
전공 |
해양군집생태학 |
GR17692 |
3.0
해양군집생태학
전체
전체
다양한 해양환경에서 서식하는 해양생물 군집의 특성을 이해하고 환경요인과의 상호관계를 분석한다. 개체군의 경쟁, 초식, 교란에 따른 군집구조와 천이의 생태학적 의의를 평가한다.
|
25 |
전체 |
전체 |
전공 |
해양미생물생태학특론 |
GR17693 |
3.0
해양미생물생태학특론
전체
전체
해양미생물의 영양, 생장, 생리, 대사 그리고 각 영양단계에서 역할을 이해한다. 특히 염수, 연안하구, 원양, 심해, 퇴적층에서 생화학 기작과 무기염류의 생지화학순환을 고찰한다.
|
26 |
전체 |
전체 |
전공 |
해양부유식물생태학 |
GR17694 |
3.0
해양부유식물생태학
전체
전체
해양의 일차생산자인 식물플랑크톤에 대한 분류, 생리, 생태를 고찰한다. 광합성 및 성장과 제반 해양환경과의 연관성, 생물지리분포 등을 검토하여 이들이 해양생태계에서 차지하는 역할을 평가한다.
|
27 |
전체 |
전체 |
전공 |
해양부유동물생태학 |
GR17695 |
3.0
해양부유동물생태학
전체
전체
해양의 이차생산자인 동물플랑크톤의 분류, 생리, 생태를 고찰한다. 피식-포식 관계에서 해양 환경과의 연관성 그리고 생리지리분포 등을 검토하여 해양생태계에서 이들의 기능과 역할을 이해한다.
|
28 |
전체 |
전체 |
전공 |
해양저서식물생태학 |
GR17696 |
3.0
해양저서식물생태학
전체
전체
해양저서식물과 생육환경과의 상호관계를 이해하고 경쟁, 초식, 교란에 따른 군집구조와 분포, 생활사 등 저서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분석한다. 수리모델을 적용하여 저서식물군집을 정량적으로 이해한다.
|
29 |
전체 |
전체 |
전공 |
해양저서동물생태학 |
GR17697 |
3.0
해양저서동물생태학
전체
전체
해양저서동물과 서식환경의 상호관계를 이해한다. 경쟁, 피식, 교란에 따른 군집구조, 생활사, 포식습성 등 저서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생태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
30 |
전체 |
전체 |
전공 |
어류계통분류학특론 |
GR17698 |
3.0
어류계통분류학특론
전체
전체
생명의 탄생과 진화에 대한 개념을 기초로, 어류의 형태, 생리, 생태, 행동 등을 비교하여 어류의 기원과 진화, 분류학적 계통에 대하여 이해하며, 어류의 동정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한다.
|
31 |
전체 |
전체 |
전공 |
수산개체군생태학 |
GR17700 |
3.0
수산개체군생태학
전체
전체
수산생물 개체군의 생태학적 속성에 대하여 이해하며, 개체군의 생물량 추정법, 생물량평가 모델을 통하여 생물자원의 관리와 개발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한다. 개체군의 수리생태학적 특성치를 기초로 자원량 추정법, 자원평가 모델, 자원관리와 개발등에 관하여 연구한다.
|
32 |
전체 |
전체 |
전공 |
연안해수순환론 |
GR17701 |
3.0
연안해수순환론
전체
전체
연안의 해수 순환 과정을 이해한다. 연안에서 해수순환은 퇴적물의 침식과 퇴적, 오염물질의 이동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33 |
전체 |
전체 |
전공 |
수중음향학 |
GR17702 |
3.0
수중음향학
전체
전체
수중에서의 음파는 유체의 밀도에 따라 그 전달 경로가 크게 달라진다. 수중에서 음파의 전파특성과 그 변동성에 관해 이해한다.
|
34 |
전체 |
전체 |
전공 |
천해조석론 |
GR17704 |
3.0
천해조석론
전체
전체
수심이 얕고 지형이 복잡한 천해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조석현상에 대해 배운다. 천해의 배조, 복합조의 생성과 만의 부진동 현상 등을 이해한다
|
35 |
전체 |
전체 |
전공 |
고급 물리해양관측기법 |
GR17705 |
3.0
고급 물리해양관측기법
전체
전체
여러 가지 첨단 물리해양 관측기법들을 익히며 직접 실습을 한다. ADCP, DGPS, TGPS, Real-Time monitoring 등 첨단 관측기법의 원리와 이론적 배경에 대해 이해한다.
|
36 |
전체 |
전체 |
전공 |
물리해양 세미나 |
GR17706 |
3.0
물리해양 세미나
전체
전체
물리해양에 관한 최근의 국내외 연구 동향을 이해한다. 최근에 발표된 연구 결과들을 중심으로 주제발표 및 토론의 형식으로 진행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킨다.
|
37 |
전체 |
전체 |
전공 |
해양오염세미나 |
GR17993 |
3.0
해양오염세미나
전체
전체
해양환경이 지속적으로 오염되고 있는 실상을 물리, 화학, 생물, 지질해양학 측면에서 파악하고, 오염제거를 위한 다양한 이론적 방법을 습득한다.
|
38 |
전체 |
전체 |
전공 |
탄산염암특론 |
GR17994 |
3.0
탄산염암특론
전체
전체
탄산염암의 구성과 형성 과정, 그리고 퇴적 환경으로 분류하여 알아보고 그 중요성에 대해 논의한다.
|
39 |
전체 |
전체 |
연구 |
연구지도1 |
GR21999 |
3.0
연구지도1
전체
전체
담당교수와 대학원생이 연구주제를 정하고, 연구수행에 대한 계획서, 중간보고서, 결과보고서(활동내역 및 실험노트 등)를 시기별로 담당교수에 게 제출하면 담당교수가 학점 인정 여부를 결정
|
40 |
전체 |
전체 |
연구 |
연구지도2 |
GR22000 |
3.0
연구지도2
전체
전체
담당교수와 대학원생이 연구주제를 정하고, 연구수행에 대한 계획서, 중간보고서, 결과보고서(활동내역 및 실험노트 등)를 시기별로 담당교수에 게 제출하면 담당교수가 학점 인정 여부를 결정
|
41 |
전체 |
전체 |
연구 |
연구지도3 |
GR22001 |
3.0
연구지도3
전체
전체
담당교수와 대학원생이 연구주제를 정하고, 연구수행에 대한 계획서, 중간보고서, 결과보고서(활동내역 및 실험노트 등)를 시기별로 담당교수에 게 제출하면 담당교수가 학점 인정 여부를 결정
|
42 |
전체 |
전체 |
연구2 |
연구연수1 |
GR23476 |
3.0
연구연수1
전체
전체
학기 중 대학원생이 외부기관(국내 또는 해외 연구기관 및 대학)의 연수 프로그램 등에 2개월 이상~3개월 미만 참여하여 해당기관에서 연구와 관련한 제반 활동을 수행하고 결과자료를 제출하면 학점으로 인정
|
43 |
전체 |
전체 |
연구2 |
연구연수2 |
GR23477 |
6.0
연구연수2
전체
전체
학기 중 대학원생이 외부기관(국내 또는 해외 연구기관 및 대학)의 연수 프로그램 등에 3개월 이상 참여하여 해당기관에서 연구와 관련한 제반 활동을 수행하고 결과자료를 제출하면 학점으로 인정
|
44 |
전체 |
전체 |
전공 |
기후모델링및예측 |
GR23604 |
3.0
기후모델링및예측
전체
전체
기후모델링의 이론적, 수치적 방법론을 이해하고 기후예측 방법을 이해하고 실습한다.
|
45 |
전체 |
전체 |
전공 |
기후예측및머신러닝 |
GR23685 |
3.0
기후예측및머신러닝
전체
전체
기후모델링의 이론적, 수치적 방법론을 이해하고 기후예측 방법을 이해하고 실습한다.
|
46 |
전체 |
전체 |
전공 |
고급기후역학 |
GR23686 |
3.0
고급기후역학
전체
전체
기후변동을 일으키는 대기-해양의 기후역학에 대해 이해한다.
|
47 |
전체 |
전체 |
전공 |
고급생물해양학 |
GR23687 |
3.0
고급생물해양학
전체
전체
해양이라는 특이한 환경에서 생물들이 살아가는 현상을 물리, 지질, 화학 분야의 지식을 바탕으로 이를 이해한다. 해양생물들이 주도하고 있는 에너지 유동과 물질순환에 대하여 고찰한다
|
48 |
전체 |
전체 |
전공 |
고급어류생태학 |
GR23689 |
3.0
고급어류생태학
전체
전체
어류 개체군과 군집의 기능에 관한 이론을 습득하고 어류 자원의 추정 및 관리에 대한 연구 방법과 수산자원의 활용과 가치를 알아본다.
|
49 |
전체 |
전체 |
전공 |
연안환경평가론 |
GR23690 |
3.0
연안환경평가론
전체
전체
갯벌, 염하구, 잘피밭 등 연안해역의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해 생물다양성 베이스라인 자료 수집과 생물다양성 임팩트를 포함한 전략적인 환경평가 방법론에 관한 지식을 습득한다.
|
50 |
전체 |
전체 |
전공 |
해양원격탐사 |
GR23691 |
3.0
해양원격탐사
전체
전체
원격탐사의 기본 이론과 자료 처리 기법을 이해한다. 각종 위성 자료의 특성, 구조, 분석방법 현장관측자료를 이용한 보정 등을 익힌다.
|
51 |
전체 |
전체 |
전공 |
고급저서생물생태학 |
GR23742 |
3.0
고급저서생물생태학
전체
전체
암반과 퇴적물에 서식하는 해양저서생물에 관한 고급생태학적 개념을 습득하는 교과목으로 한국 해양에서 특별하게 발생하는 서식처, 개체군, 군집, 생태계 수준의 이슈들을 이해한다.
|
52 |
전체 |
전체 |
전공 |
고급조간대지질학 |
GR23744 |
3.0
고급조간대지질학
전체
전체
조수간만의 차이가 큰 경우, 사주 섬 안쪽의 석호와 염하구의 육지쪽 및 해안선 근처에는 조간대 퇴적환경이 형성된다. 이 곳의 여러 가지 지질학적 현상들에 의한 퇴적물과 퇴적구조의 특징을 기재하고 해석한다.
|
53 |
전체 |
전체 |
전공 |
고급조석학 |
GR23745 |
3.0
고급조석학
전체
전체
기조력의 형성원인을 이해하고 일주조, 반일주조, 장주기조 등 주기에 따른 여러 가지 종류의 조석과 지형에 의해 변형되는 조석에 대해 알아보고, 조석의 예보 능력을 배양한다.
|
54 |
전체 |
전체 |
전공 |
고급퇴적학 |
GR23746 |
3.0
고급퇴적학
전체
전체
퇴적물이 생성, 운반, 퇴적작용 등을 거쳐 퇴적암이 형성되는 전 과정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퇴적물을 관찰, 기술하고 분류하며, 그 기원과 퇴적 기작을 밝힌다.
|
55 |
전체 |
전체 |
전공 |
고급파동역학 |
GR23747 |
3.0
고급파동역학
전체
전체
파랑의 형성원인과 역학을 이해하고, 파랑의 여러 가지 관측방법, 관측된 자료의 분석방법을 터득하며 파랑의 예보능력을 배양한다.
|
56 |
전체 |
전체 |
전공 |
고급해양기상학 |
GR23749 |
3.0
고급해양기상학
전체
전체
해양과 대기의 상호작용에 대해 이해한다. 구체적으로 엘니뇨, 라니나 현상과 열대 해역에서의 해양 상호작용과 이들이 전세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
57 |
전체 |
전체 |
전공 |
고급해양역학 |
GR23750 |
3.0
고급해양역학
전체
전체
해수의 순환을 지배하는 운동방정식에 대하여 먼저 공부한다. 해양에서 일어나는 해수순환과 물성변화에 대해 역학적으로 이해함으로써 해양과 대기 상호 작용과 해수물성의 시공간적 변화 특성을 이해한다.
|
58 |
전체 |
전체 |
전공 |
고급지질해양학 |
GR23751 |
3.0
고급지질해양학
전체
전체
해양지질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과 능력을 함양하여 해양지질에 대한 기초를 닦는다.
|
59 |
전체 |
전체 |
전공 |
고급화학해양학 |
GR23785 |
3.0
고급화학해양학
전체
전체
해수성분들의 화학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 성분과 물리화학 및 생물학적인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방법 및 퇴근 토픽에 대하여 토론한다.
|
60 |
전체 |
전체 |
전공 |
해양수치모델링 |
GR23808 |
3.0
해양수치모델링
전체
전체
편미분 방정식으로 이루어진 운동방정식을 차분화하여 연립방정식 형태로 바꾼다. 그 후에 이 식들을 컴퓨터 언어로 작성하여 푼다. 해양수치모델은 컴퓨터로 이 방정식을 풀어서 수치해를 제공한다. 이 수치해를 이용하여 해양의 순환과 현상들을 이해한다.
|
61 |
전체 |
전체 |
전공 |
선상관측연구 |
GR23809 |
3.0
선상관측연구
전체
전체
현장 해양조사선에 직접 승선하여 탐사기간 중 해양조사 장비의 실제적 운용과 관측 및 관찰 등을 통하여 현장능력을 겸비한 해양전문 고급인력을 양성하고자 한다.
함양한다.
|
62 |
전체 |
전체 |
전공 |
퇴적암석학특론 |
GR23834 |
3.0
퇴적암석학특론
전체
전체
쇄설성 퇴적물의 이동과 퇴적현상 및 수리역학적 이론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쇄설성 퇴적암의 특징, 구조, 분류하고 퇴적상에 대하여 토론한다.
|
63 |
전체 |
전체 |
전공 |
기후자료머신러닝 |
GR23835 |
3.0
기후자료머신러닝
전체
전체
다양한 인공지능 기법을 기후 예측에 활용하기 위한 교과목이다. 기본적인 머신 러닝 기법에 더해 뉴럴 네트웍 (Neural Network), 합성곱 신경망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순환 신경망 (Recurrent Neural Network)등 다양한 딥러닝 기법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고, 머신 러닝 기법을 분석하고자 하는 기후 현상의 특징에 맞게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학습하는 과목이다.
|
64 |
전체 |
전체 |
전공 |
해양학머신러닝 |
GR23836 |
3.0
해양학머신러닝
전체
전체
해양 물리, 생물, 화학 변수등, 전지구 해양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양한 데이터들간의 비선형 관련성 분석을 위해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하는 교과목이다. Nonlinear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NLPCA), Decision Tree, Self-Organizing Map (SOM) 등 다양한 머신러닝 기반 비선형 통계 툴의 원리를 파악하고, 분석하고자 하는 현상의 특성에 맞는 머신 러닝 기법을 활용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65 |
전체 |
전체 |
전공 |
대기해양대순환 |
GR31014 |
3.0
대기해양대순환
전체
전체
기후변동을 일으키는 대기-해양의 대순환을 역학적으로 이해한다.
|